Ria & Seoa PaPa

What I've been up to

개인적인 일상과 소프트웨어 내용을 포스팅합니다.

[Kubernets] Ceph Cluster install with helm

쿠버네티스에 가상스토리지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쿠버네티스에서 영구 저장하가 위해선 PV(persistent volume)를 생성해야하는데 싱글노드일땐 호스트 마운트로 사용해도 무관하지만. 멀티노드일땐 가상스토리지는 필수로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이번에 온프레미스 멀티노드로 쿠버네티스를 구성하였고, ceph(가상스토리지)를 설치를 진행해보았습니다. 공식문서에서 제공하는 가이드 방식은 yaml파일 하나씩 쿠버네티스에 배포하는방식을 설명하지만 helm을 통해 더욱 쉽게 배포를 진행해보겠습니다.

[JAVA 8] Stream API

자바의 I/O의 스트림이 아닌 데이터 컬렉션과 유사한 것으로, 자바8에서 새롭게 등장한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스트림을 학습해본다. 스트림이라는 표현은 주로 어떤 데이터의 흐름을 말한다. 이번 자바 8에서 새롭게 나온기 전에도 자바에서 사용하던 용어로 java.io 패키지에 있는 I/O 프로그래밍에 활용되는 클래스명에 Stream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번에 학습할 스트림은 주로 컬렉션 프래임워크나 이와 유사한 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자바8에서 새롭게 제안한 API 이다.

[JAVA 8] Functional Basic (2/2)

자바에서 제공하는 기본 함수형 인터페이스 외에 새로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추가할 때는 명시적으로 FunctionalInterface 어노테이션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많은 함수형 인터페이스가 있지만 주된 패턴의 내용을 정리해본다.

[JAVA 8] Functional Basic (1/2)

자바에서 역사상 큰 변화는 바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도입한 것이다. 왜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필요한지 알아본다.